
5. springboot 새로만들기 귀찮다면 내가 올린 테스트 사용~! https://github.com/victory940209/testspringboot/tree/main/testSpringboot GitHub - victory940209/testspringboot Contribute to victory940209/testspringbo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 pom.xml 설정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parent 2.7.8 ... 11 3.1.5 ... org.springframework.cloud spring-cloud-starter-sleuth ${sp..

3.promtail Promtail은 Grafana에서 개발한 로그 수집기로, Loki라는 분산 로깅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어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검색할 수 있다. 컴퓨터의 로그 파일을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Loki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로그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로그 파일의 경로나 이름을 패턴화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특정 키워드를 필터링하여 로그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등 로그 데이터를 JSON 형식으로 파싱하여 Loki에서 쿼리 작성을 용이하게 한다. ELK에서 logstash와 같은 역할 설치과정 1. 정식 github 에서 https://github.com/grafana/loki/releases 운영체제에 맞는 패키..

저번 프로젝트의 서버는 이중화되어있어 오픈 후 안정화 기간에 있던 일이었다. 특정 고객이 오류가 난다는 상황이었는데 우리는 해당 고객의 로그를 찾기 위해 두 개의 서버에서 로그를 찾아봐야 했다. 근데 이 고객 특정 행위를 할 때마다 1번 서버 갔다가 2번으로 호출될 때가 있어 로그 찾는 것에 고생을 했다..... 하아.. 프로젝트 종료 후에 찾아보니 로그 트레이싱하는 대표적인 ELK가 있었고 ELK를 세팅을 해보니 생각 보다 서버가 버거워했다..(테스트 서버라 그런 거 같지만) 그래서 비슷한 로그 트레이싱이 있다 해서 구성해보았다! 1. Grafana Grafana는 대시보드와 시각화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여러 데이터 소스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모니터링할 수..

https를 적용이 되어있는 tomcat에서 http 접속시도 시 https로 자동 rediect 해주는 법이 있다. ./conf/server.xml ...... //웹서버 등의 특정 서버와 연결하는 부분일 경우 필요 ..... ./conf/web.xml ... HTTP /* CONFIDENTIAL Tomcat에서 보안 목적으로 특정 HTTP Method를 제한이나 특정 URL만 설정하는 등도 를 사용한다.

tomcat을 window에서 startup.bat로 실행시켜서 띄우는 경우에 한글이 깨져서 console에 나오는 경우가 있다. ./conf/logging.properties 파일을 수정하주면된다. .... 1catalina.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 2localhost.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 3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 4host-manager.org.apache.juli.AsyncFileHandler.encoding = UTF-8 .... java.util.logging..

개요 tomcat의 기본 context는 ./webapps로 잡혀있고 default는 ROOT명의 폴더, war를 읽게 되어있다. contex를 추가또는 수정하는 방법은 ./conf/server.xml를 수정하면 된다. server.xml ..... ..... Context를 추가 하여 하면 되는데 가끔 Host부분을 수정하는 사람도 있다. ..... .... ..... 이런 식으로 바꾸었을 때 path를 지정하지 않아서 그런가 폴더 위치에 따라 session이 변경되어서 session 유지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path가 / 인 세션이 있고 /verify 인 세션이 있어 주의 해야한다.